2025. 10. 12. 15:59ㆍ신기한 해외직업
한글 자막이 없던 시절, 외국 게임을 플레이하던 게이머들은
대사를 이해하기 위해 인터넷에서 번역 파일을 찾아 헤맸습니다.
그러나 지금은 거의 모든 게임이 자연스러운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시됩니다.
그 뒤에는 ‘보이지 않는 번역가’,
바로 **게임 로컬라이저(Game Localizer)**가 있습니다.
게임 로컬라이저는 단순히 텍스트를 번역하는 사람이 아닙니다.
그들은 언어를 다루면서 동시에 문화, 유머, 감정까지 옮기는 전문가예요.
한 문장의 뉘앙스, 한 단어의 선택이
게임의 몰입도와 세계관의 완성도를 바꿔버리기도 하죠.
🌍 게임 로컬라이저는 어떤 일을 할까?
게임 로컬라이저는 **“게임을 문화적으로 번역하는 사람”**이에요.
예를 들어 일본 게임 속 “온천 장면”을 그대로 번역하면
한국 이용자에겐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죠.
이때 로컬라이저는 문화적 맥락을 고려해
비슷한 의미의 “스파 휴식 장면”으로 바꾸는 식이에요.
즉, 그들은 언어를 ‘게임의 감정’으로 바꾸는 사람들입니다.
🎯 주요 업무
🎮 게임 텍스트 번역 | 대사, 아이템 이름, 메뉴 UI 등 번역 및 수정 |
🧠 문화 현지화(Localization) | 특정 문화, 유머, 표현을 현지 감성에 맞게 조정 |
🧩 테스트 및 QA | 실제 플레이를 하며 번역이 자연스러운지 검수 |
🗣️ 음성 더빙 검수 | 캐릭터의 감정선과 대사 톤의 일관성 체크 |
✏️ 스타일 가이드 작성 | 번역 통일성 유지 및 문체 규칙 관리 |
💬 단순한 번역가가 아닌 ‘감정의 번역가’
게임 로컬라이저는 단어를 번역하는 대신, **“느낌을 번역”**합니다.
예를 들어 영어로 “I’ll be back.”을 한국어로 옮긴다고 할 때,
캐릭터의 성격과 게임의 분위기에 따라
“금방 돌아올게.” 또는 “곧 다시 보자.”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이 직업은 언어 실력보다 감정 전달력이 더 중요할 때도 많아요.
로컬라이저는 “말”을 옮기는 사람이 아니라
“경험”을 이어주는 다리인 셈이죠.
🧠 어떤 능력이 필요할까?
📚 언어 능력
- 영어, 일본어, 중국어 등 원문 언어의 문법과 뉘앙스 이해
- 한글 맞춤법, 문장 감각, 문체 통일 능력
🎮 게임 이해력
- 게임 장르별 용어(스킬, 퀘스트, 스토리 구조 등) 숙지
- 대사와 인터페이스가 게임 흐름에 미치는 영향 이해
🎨 문화 감수성
- 현지 이용자의 정서, 유머 코드, 밈(Meme) 이해
- 번역 시 문화적 불쾌감을 피하는 감각
💻 기술 도구 활용 능력
- CAT 툴(Trados, MemoQ 등)
- 스프레드시트, 텍스트 관리 툴
🎓 관련 전공 및 진입 경로
🏫 관련 전공 | 영어영문학, 일본학, 언어학, 게임기획, 문화콘텐츠학 |
📜 유용 자격증 | 토익/토플, JLPT, CAT Tool 자격, IT 관련 자격 |
💡 경로 예시 | 프리랜서 번역 → 인디 게임 번역 → 글로벌 퍼블리셔 입사 |
요즘은 프리랜서 플랫폼(번역 에이전시, 게임 자막 프로젝트)을 통해
경험을 쌓은 뒤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아요.
💰 연봉과 근무 환경
초급 (1~3년) | 약 3,000만 원 | 번역 에이전시, 프리랜서 |
중급 (4~7년) | 약 4,500만 원 | 게임 퍼블리셔, 개발사 |
고급 (8년 이상) | 6,000만 원 이상 | 글로벌 프로젝트 매니저 |
글로벌 기업(예: 블리자드, 라이엇, 닌텐도)은
번역 품질에 따라 성과 보너스를 지급하기도 해요.
🌐 게임 로컬라이저의 미래 전망
게임 시장은 이미 전 세계화됐습니다.
이제는 영어 하나로 모든 게 통하지 않아요.
각 나라의 정서, 밈, 문화, 말투에 맞게 번역하지 않으면
게임이 현지에서 외면받을 수 있죠.
👉 그래서 게임 로컬라이저의 역할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.
특히 AI 번역 기술이 발전해도,
“감정”과 “유머”는 인간만이 자연스럽게 옮길 수 있습니다.
즉, 이 직업은 오히려 AI 시대에 더욱 필요한 직업이에요.
게임 로컬라이저는 단순히 단어를 바꾸는 번역가가 아닙니다.
그들은 “언어의 틀”을 넘어 “이야기의 감정”을 옮기는 사람들입니다.
플레이어가 자연스럽게 웃고, 몰입하고, 감동할 수 있도록
보이지 않는 곳에서 게임의 완성도를 높이죠.
게임을 좋아하고, 언어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—
게임 로컬라이저는 그 두 가지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최고의 직업입니다.
'신기한 해외직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푸드 트렌드 리서처, “내일의 식탁”을 설계하는 사람들 (0) | 2025.10.14 |
---|---|
스마트한 가전 시대, 그 안에서 일하는 사람들― 스마트가전 UX 리서처와 홈 에너지 옵티마이저의 세계 (0) | 2025.10.13 |
편의시설 기획자, 도시 속 ‘편리함’을 설계하는 사람들 (0) | 2025.10.12 |
유아발달 전문가, 아이 성장을 과학으로 읽는 사람들 (0) | 2025.10.12 |
펫엔딩플래너, 반려동물의 마지막을 함께하는 사람들 (0) | 2025.10.12 |